전로는 제강 중에 탈탄소, 탈인, 탈황, 합금화, 온도 상승, 불순물 제거 등의 기능을 하며, 제련할 때에는 별도의 열량을 가하지 않고 쇳물 중의 산화반응에 의해 열을 방출한다.전로에서 난로 안감, 출강구, 공기 벽돌 등은 모두 내화재료로 구성되었다.마그네슘탄소벽돌은 지난 세기 70년대부터 개발된 이래 그 종합 성능이 백운석탄소벽돌보다 뚜렷이 좋아져서 널리 응용하게 되었다.마그네슘 탄소 벽돌은 마그네슘 사골재, 흑연, 항산화제, 결합제 등으로 구성, 높은 내식성, 내박탈, 내용융재, 내열진 등 장점.변경 마그네슘 골재, 흑연 입자의 구성 또는 변경 항산화제 첨가 양을 통해 크게 변경 마그네슘 탄소 벽돌 강도, 내식성, 산화 저항 등.실제 생산에서 전로의 각 부위의 융해손실의 특점에 따라 마그네슘과 탄소 벽돌의 성분을 미세조정하면 전로의 수명을 높이고 종합원가를 낮출수 있다.
우리나라의 이중 탄소 정책의 실시에 따라 내화 재료의 탄소 소모는 소홀히 할 수 없다.새로운 전로제련기술하에서 전로의 각 부위에 사용되는 내화재료의 응용도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였다.전통적인 마그네시움탄소질내화재료는 탄소함량이 높고 열전도계수가 비교적 높으며 에네르기소모량이 증가되고 내화재료의 침식을 일으킬수 있다.특히 저탄소강과 초저탄소강을 제련할 때 쇳물의 탄소가 증가되여 강철제품의 질이 낮아지게 된다.그러므로 마그네시움의 탄소내화재료 저탄화 및 관련 기술의 혁신이 새로운 발전방향이 될것이다.
전로제련주기중에 전로부위에는 주로 다음과 같은 두가지 용해현상이 발생한다.하나는 마그네시움중의 잡질성분인 sio2와 cao 인데 마그네시움과 반응하여 융점이 낮은 물질을 생성한다.다른 하나는 용광로찌꺼기중의 feo와 내화재료중의 mgo 가 반응하여 mgo-feo 고체용해체를 형성함으로써 용해점이 낮아진다.상술한 두 종류의 용해 현상이 동시에 발생하여 마그네슘탄소 벽돌의 용해 손상을 야기하다.마그네슘 모래의 용해 마그네슘 탄소 벽돌의 용해 손상의 큰 영향, 따라서 고순도 원료와 결정계 적은 마그네슘 모래의 원료를 용해 손상의 심각한 지역 마그네슘 탄소 벽돌에 응용하고 적당하게 증가 슬래그 중 mgo 함량, 마그네슘 탄소 벽돌의 용해 손상의 상황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제련할 때 마그네시움탄소벽돌의 산화는 불가피한바 마그네시움탄소벽돌중의 탄소 (흑연과 탄소질결합제)는 산화성기체와 찌꺼기중의 산화물에 의해 산화된다.마그네시움탄소벽돌의 산화는 탄소와 산소의 직접적산화와 탄소와 산화물의 간접적산화로 나눈다.전로의 출출구, 난로입구, 난로캡과 찌꺼기선의 산화가 비교적 뚜렷한데, 그중 출출구와 찌꺼기선은 주로 난로의 산화를 받으며, 난로구멍과 난로캡은 주로 기체의 산화를 받는다.산화후의 마그네시움탄소벽돌은 구조가 푸석푸석하고 강도가 낮아지며 기류와 쇳물의 침식하에 점차 침식된다.
전로밑, 가스공급부품과 출강부분의 마모손상이 주요한 파손원인이다.례하면 회전로에서 강철을 뽑아낼 때 강출구가 간헐적인 열충격과 동시에 강물과 일부 강재의 세습을 받기때문에 내화골재가 마모된다.이 부위는 쇳물과 쇳물이 공존으로 흐르므로 안정적인 쇳물 부착층을 형성하기 어려우며 흑연과 마그네시움사는 쇳물 흐름에 의해 탈락되는 특징이 있다.상기 문제에 기초하여 원료의 알갱이등급을 조절하여 마그네시움탄소벽돌의 체적밀도를 높이고 금속섬유를 첨가하여 고온에서 크리믹저항성을 높일수 있다.
이전 편:고성능 전로출구 자동주입 보수기술